아동학대의 실태(實態) 및 보호체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1 17:05
본문
Download : 아동학대의 실태 및 보호체계.hwp
이러한 학대의 주 가해자도 아버지(10.2%)보다 어머니(54.3%)들이 신체학대나 정서학대, 방임하는 비율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1997년말 처음 된 경제위기로 인하여 실직가정 및 해체가定義(정이) 수가 급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정서적학대 및 방임이 낮게 나타난 것은 여전히 아동학대에 대한 槪念이 불분명하여 학대인지 아닌지 판단하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져 학대槪念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제고가 요구되어진다.
신고되어진 피학대아동의 연령별 現況(현황) 을 살펴보면 8-10세 아동이 25%, 4-7세 아동이 24%…(생략(省略))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아동학대의 실태 및 보호체계.hwp( 66 )
아동학대의 원인과 유형을 살펴보고 아동학대의 실태 및 현황을 조사하고 현재의 아동학대 문제점에 대한 보호체계에 관하여 아동보호사업 및 아동보호전문기관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무관심 다음으로 폭력 등 신체적 학대가 41%로 두 번째로 많았고 정서적 학대 17%, 성적학대 3.4% 등이 뒤를 이었다(2001.1.15. 한국일보).
2) 아동학대유형 및 연령별 現況(현황)
한국어린이보호재단(인천, 울산 제외) 24시간 아동학대 상담신고전화를 통하여 지난 1999년 2월부터 2000년 11월까지 접수한 628건의 아동학대사례(instance)는 신체적학대(39%), 성학대(26%), 정서적학대(20%), 방임(15%)의 순으로 나타났고 한 유형의 학대만 발생하기보다는 두개이상의 중복학대가 대부분으로 나타났다.wndqhr아동복지론 , 아동학대의 실태 및 보호체계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다. 하지만 학대받은 경험이 있는 아동들을 중심으로 연구한 data(자료)의 경우에는 보통 아버지가 주학대자가 되고 신체적 학대의 비율도 일반現況(현황) 에 비해 훨씬 높게 나와 있다 또한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말까지 신고된 아동학대건수는 총3,489건. 1999년 한해 2,155건에 비해 1년 사이에 1.6배나 늘었다. 이는 곧 아동 5명당 2명이 아동학대를 받았음을 의미한다.
wndqhr아동복지론
순서
Ⅰ. 서 론
Ⅱ.아동학대의 이해
1. 아동학대의 유형과 결과
1) 신체적 학대(Physical Abuse)
2) 정서적 학대(Emotional Abuse)
3) 성적 학대(Sexual Abuse)
4) 아동방임(Child Neglect)
2. 아동학대의 現況(현황)
1) 아동학대 발생現況(현황)
2) 아동학대유형 및 연령별 現況(현황)
3) 아동학대신고자 유형
4) 아동학대행위자 유형
5) 학대행위자 연령별 및 결혼상태
6) 학대행위자 소득現況(현황)
7) 학대행위자 학력 학대경험 유무
8) 학대행위자 문제 및 가정내 관련문제
Ⅲ. 아동보호사업의 이해
1. 기본 철학
2. 아동보호사업의 기본방향
3. 아동보호사업의 운영目標(목표)
1) 아동학대에 대한 신고체계 확립
2) 학대받는 아동에 대한 응급조치 실시
3) 아동학대에 대한 대국민 의식 전환 도모
4.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주요기능
Ⅳ. 결 론
2. 아동학대의 現況(현황)
1) 아동학대 발생現況(현황)
2000년 5월 보건복지부가 전국의 1,094가구를 표집하여 조사한 data(자료)에 의하면 한국의 아동학대 발생율은 43.7%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의 실태(實態) 및 보호체계
아동학대의 원인(原因)과 유형을 살펴보고 아동학대의 실태(實態) 및 現況을 조사하고 현재의 아동학대 문제점(問題點)에 대한 보호체계에 관하여 아동보호사업 및 아동보호전문기관에 대상으로하여 정리(arrangement)했습니다. 이는 870건이었던 아동97년보다는 무려 4.3배나 증가한 수치로, 그 대부분(95%)이 부모에 의한 것이다. 유형별 학대는 ‘무관심’으로 대표되는 방임이 46.1%로 가장 많다.